본문 바로가기

과거 글

[중간고사 대비]각국의 농산물 유통 관련 정책/주요국의 농산물 유통단계/중국의 농산물 유통/ 일본의 농산물 유통/ 미국의 농산물 유통/ EU(유럽연합)의 농산물 유통

728x90

국내(우리나라)

우리나라의 농산물 유통구조는 크게  산지유통, 도매단계, 소매단계 로 이루어진다. 

1985년 대형할인점이 생겨나고 국내의 농산물 유통은 도매시장 vs 대형마트의 경쟁구도이다. 도매시장의 경직적인 유통 체계로 인해 농산물이 대형유통업체에서 거래되는 비중은 점점 늘어나고 있다.

2017년 기준 도매시장과 대형유통업체의 거래 비중은 50.6:44.6으로 도매시장이 근소하게 앞서고 있다.  


중국

 

중국은 1950년대에 생산자중심의 생산합작사와 유통판매중심의 공소합작사, 금융중심의 신용합작사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생산합작사의 경우 70년대까지는 정부의 조직, 80년대는 민관공동으로, 90년대 이후는 민간관리가 활발해졌다.  

 

 1980년대 "기업+농가"형에서 기술협회 농민전업협회 농민전업합작사에 오는 발전과정을 보이고 있따. 농민전업합작사의 업종분포의 경우 재배업(47%), 축산업(31%)가 주요 산업이다. 또한 주요 업무는 생산,판매가 (52%) 가장 높고 그 다음이 생산(24%)이다. 

 농민전업합작사의 경우 크게 4가지 형태로 구분되는데 농가주도형, 기업주도형, 정부주도형 및 기타로 구분할 수 있다. 

1. 농가 주도형 : 농촌의 전업농가

2. 기업 주도형 : 용두기업 

3. 정부 주도형 : 지방의 농업관련부서

 '용두기업'이란 가공업, 유통시장, 농민전업협회 등 농산물의 생산·가공·유통의 중핵이 되는 조직을 가리키며, 농업부에 따르면 현재 전국 4분의 1의 농가가 이러한 중핵기업과 연계를 맺고 있다고 한다.

 

 


일본

일본의 유통구조도 산지, 도매, 소매 단계로 이루어져있다. 국내와 다른점은 도매시장으로 유통되는 비율인데 일본의 경우 93%의  농산물이 협동조합을 통해 도매단계로 공동출하 된다. 일본의 경우 64개의 중앙도매시장과 1,081개의 지방도매시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앙도매시장의 경우 중앙정부의 '도매시장법'에 의해 관리 감동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도매시장에서 유통되는 비중이 높기 때문에 경직적이고 변화의 폭이 큰 경매를 통한 유통이 아닌 위탁집하, 상대매매의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소매단계에서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농가소득 증대차원에서 다양한 정책이 시도되고 있다. 지산지소(국내의 신토불이와 같은 개념), 로컬푸드, 관광농업 활성화를 통해서 농가소득 증대를 도모하고 있다. 

미국

미국의 유통경로구조와 상지유통체계

미국은 '산업형 농업'이 최적화 되어있다. 주로 2~3단계인데 산지민간유통기업, 협동조합을 통해서 도매상이나 소매업체에게 전해진다. 대규모 농업에 의해서 기업적 생산,출하,거래가 이루어지고 거래교섭력대응거래를 위해 규모화, 기업화가 이루어졌다.

 

미국의 CSA(Community Supported Agriculture)

 CSACommunity Supported Agriculture의 약자로 약자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생산자 조합, 공급자 조합이 아닌 공동체 지원 농업이다. CSA가 탄생하게 된 배경은 무엇일까? 미국은 농산물 생산에 있어서 산업형 농업이 발전하게 되고, 젊은 세대의 도시 진출로 인하여 농촌 가족 공동체가 붕괴 위기에 처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소비자의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트리게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소비자와 생산자는 연합하여 가족, 마을 공동체를 살리고 안전한 농산물을 공급하기위해 생겼다.

  CSA의 형태는 총 4가지로 구분되는데 

1. 농민주도(farmer-driven) 농민이 생산을 주도하고 소비자들은 수동적으로 생산물을 받게된다. 주로 미국 서부에서 보여지는 형태이다.

2. 소비자주도(consumer-driven) 소비자들이 주도하는 형태로서 소비자들이 직접 땅을 구하고, 농업인을 고용하여 재배할 품목도 정한다. 경영 및 생산에 실질적으로 참여한다.

3. 농민협동조합(farmer cooperative) 소비자에게 생산물을 제공하기 위해 결성된다. 개인이 직접 제공할 경우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에 대한 대처가 가능하며 다른 판로도 두고 있다.

4. 농민-소비자 협동조합(farmer-consumer cooperative) 농민과 소비자의 공동주도의 형태이다. 농민이 수동적인 생산자, 소비자가 수동적인 소비자의 형태를 띄는 것이 아니라 공동으로 주도한다.

CSA의 장점

1. 소비자의 측면

 소비자는 친환경 농산물 인증을 받은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당일 생산된 신선한 식품을 구매할 수 있다. 소비자들은 농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농업 경영, 농업 생산 방식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정보습득 및 농장생활, 생산 관계에 대해 잘 알게된다. 

 특히 소비자의 경우에는 수확체험, 주말농장 등 생산에 참여할 뿐만 아니라 체험활동까지 할 수 있어 농민들과의 상호 연대 및 신뢰관계 형성이 가능하다. 

2. 농민의 측면

 농민들은 중간상인을 거치지 않음으로써 더 많은 수익 창출이 가능하다. 애초에 소비자와 연결이 되어있는 경우 고정적인 수입원이 생기게 된다. 이는 과잉생산 방지, 저장 비용, 판매 부진을 피할 수 있는 것이다. 소비자들의 투자는 농업자본을 형성하여 농업 시설, 재반에 대한 투자로 이어지고 더 나은 농업을 할 수 있게된다. 

 이처럼 CSA는 단순히 농민과 소비자의 갑을 관계가 아닌 경영및 생산을 공동으로 주도하는 형태를 띄기 때문에 서로에게 win-win이다. 따라서 인간 관계 및 마을 공동체의 의사소통도 원활해 진다. 또한 농촌소외현상이나 지역 불균형 현상을 완화하면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게 된다. 

CSA의 단점

1. 회원 소비자의 선택의 폭이 적다. 

 국내에서도 실시하는 농산물 꾸러미 정책과도 같다. 제철 음식을 제공하기 때문에 원치 않는 농산물도 받게 되고 농산물을 직접 가공해야하는 번거로움과 요리에 대한 지식이 해박하지 않을 경우 농산물을 제대로 활용하기도 어렵다. 

2. 직접요리에야 하는 번거로움

 앞서 말한것 처럼 가공품이 아닌 농산물이 오기 때문에 소비자는 직접요리를 해야한다. 요리에 대한 지식이 해박하지 않거나 바쁜 직장인의 경우에는 영양가 있는 농산물이 그저 귀찮은 존재로만 느껴질 것이다. 

결론

 미국의 CSA를 보며 정말 좋은 공동체 문화라는 생각이 들었다. 비록 계약에 의해 이루어지는 관계이지만 소비자 주도로 생산물을 만들어내는 것이 흥미로웠다. 미국의 농업은 '산업형 농업' 그 자체이다. GMO콩과 대규모 옥수수 벨트, 밀 생산 등등 엄청난 기계식 농업이 이루어 지고 있다. 이러한 곳에서 CSA가 꽃핀 것이 신기할 따름이다. 국내에서도 CSA가 활발하게 이루어 졌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우리나라는 비교적 농촌지역과 도로사정이 원활하며 국내의 농촌 소외 현상과 식품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대두되는 상황속에서 '공동체의 회복'의 가치가 드러나기 때문이다. 

 

출처:지역유통 순환체계 구축을 위한 지방 도매시장 기능 재편 방안 A Study on the Reshape of Local Wholesale Market Functions for Local Food System Setup 최병옥 정은미 이두영 김태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blog.daum.net/cjs4012763/7656039

도움 받은 링크

 

[스크랩] <자료>미국의 CSA(공동체지원농업)

미국의 공동체 지원농업(CSA) 김 종 덕(경남대) 미국의 공동체 지원농업(김종덕).hwp 우리나라의 농민과 도시 소비자 모두 농업의 세계화, 세계식량체계의 확산으로 여러 문제

blog.daum.net

청과물 유통

생산농가 -> 산지포장 -> 출하센터 -> 도매회사or 슈퍼마켓체인의 물류센터 -> 소매점

유럽 

공동농업정책( Common Agricultural Policy, CAP)

제1기둥(first pillar) : 직접지불제도(농가 단일직불제 Single Farm Payment Scheme)
농업부문의 지원을 하나로 통합하고 생산과의 연계성을 제거하여 농가가 선택한 작물에 관계없이 지원하는 정책 이를 통해 비효율과 과잉생산 등 시장왜곡을방지하고농가소득 안정화를 도모하고 있다.
직불금을 받기 위해서 농가는 환경, 식품안전, 동식물 위생, 동물복지 등의18개관리법 규정을 포함한 부가준수사항을 지켜야 한다. 이를 지키지 않을 경우 직불금을 줄이거나 보류할수 있다. 또한 단일직불 지출이공동농업정책 예산 상한을 초과할 경우 자급률을낮추도록 하는 조치도 마련 하였다.

제2기둥(second pillar): 농촌개발정책
경쟁력강화, 구조조정, 다각화 및 다원화 기능 수행 농촌개발에 대한 정책이다.
유럽농촌개발기금(European Rural Development Fund)을 통해 농촌개발사업에 있어 상향식 접근방식 강화(회원국, 지역 활동그룹의 역할 제고), 사전·사후통제·평가보고 체계의 일원화, 회원국과 집행위원회의 명확한 책임을 구분하였다.

청과물 생산자조직(Producer Organaization, PO)
품목별 판매협동조합

 

프랑스

프랑스 농산물 도매시장의 경우 크게 4가지로 구분된다. 

1. 공영도매시장(MIN)

2. 도매사업자

3. 기타도매회사

4. 대형유통업체본부

거래비율은 각각 다른데 아무래도 공영도매시장이 40-50%대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 프랑스 도매시장의 경우 '출하창구 일원화'를 통해 중간상인에게 판매하기 때문에 중간상과의 긴밀한 관계를 구축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728x90